[스크랩] 곰취 농사 작업관리 일정 생육과정 (주요 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밑거름 토양관리 파종 육묘 정식 웃거름 중경제초 수확 2년차 수확 중경제초 및 웃거름 기상재해 및 예상되는 문제점 1..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곰취재배법 1. 곰취의 이용 부위와 이용법 곰취는 한국과 일본의 경우 어린 부분을 생채, 데친 나물, 묵나물로 식용한다.중국에서는 뿌리와 근경을 호로칠(葫盧七)이라 하며 타박상, 요통, 진해, 거담, 가혈 등에 생약으로 이용한다. 주요 약리성분으로는 Chamo mile, Jacibine, Ameleme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의 생즙과 가..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곰취 재배시 재식거리 여러 자료를 검토해보면 곰취모종은10a(300평)당 25,000~30,000주가 소요된다고 기술되어있다. 하지만 이 경우 헛골을 감안한다면 사방15cm로 심어야 한다. 사방15cm 간격으로 이식하면 1년차는 적당하나 2년차부터는 포기가 분열하여 10촉 이상 발생할 경우는 너무 밀식이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고 병이 발생..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곰취씨앗 발아요령 곰취종자는 얼어야만 발아가 됩니다. 봄에 파종할 때는 씨앗을 2-3시간 물에 축였다 하루정도 냉장고에 얼렸다꺼낸 후 보자기로 싸서 흐르는 냇물에 3-4일 담가놓았다가 탈수해서 바로 파종합니다. 흐르는 물에 담가놓기 힘들 경우 함지박에 물을 담아 아침저녁으로 물을 바꿔주며 1-2주동안 물에 담궈..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곰취 파종 및 재배 방법 <곰취 파종 및 재배 방법> 1. 육묘상자는 72구 혹은 105구 연결트레이가 적당합니다. 파종량은 한포트당 3~5립씩 파종해야 최소 3립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최소 3립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는 본밭에 심었을 경우 수량면에서 또한 수분유지, 품질유지 면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상토는 ..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곰취 씨앗 파종 2년전 어렵사리 모종을 내 다락골 밭뙈기에 곰취를 몇 주 심었었는데 씨앗도 채취해보지도 못하고 분실하고 말았습니다. 분한 마음에 모종을 구해보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곰취씨앗만 겨우 조금 구했습니다. 두 주전에 씨앗을 물에 불린 후 냉동실에 꽁꽁 얼렸다 오늘 파종했습니다. 곰취는 자연 상..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곰취모종이식과 관리요령 다락골 밭두렁에 심어진 아름드리 은행나무 밑 그늘진 곳에 재배할 작물로 곰취와 산마늘, 당귀를 선택했습니다. 토질이 약간 습한 상태에 모래가 섞인 부슬부슬한 땅이어서 산채류재배에 적합하다 여겨집니다. 퇴비만 넣고 화학비료와 농약을 일체 사용 않기로 작정했습니다. 지지난해부터 재배해..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곰취재배 곰취는 반그늘을 좋아합니다. 5월 중순부터 차광막을 씌워 그늘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토질은 기름지고 물기가 축축한 땅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비가 올 때 물이 고이는 밭이면 뿌리가 쉽게 상함으로 물 빠짐이 좋아야 합니다. 낙엽 썩은 퇴비를 많이 주어야 합니다. 이식후 나무껍질을 잘게 부슨 .. 산야초 2010.04.16
[스크랩] 백화차 (마음 맑은 우리 꽃차) (병, 15g) 백가지 꽃을 모은 백화차! 사계절의 꽃을 모두 모아 꽃차 중의 꽃차라 불리고 있습니다 봄에 동백꽃, 매화로 시작하여 노란 개나리, 진달래 그리고 온갖 과일 나무의 꽃, 긴 여름 붉은 홍화를 지나 시원한 가을 노란 국화를 건너 겨울의 문턱 녹차 꽃으로 마무리하는 1백여 가지의 꽃을 배합한 차입니다.. 산야초 2010.04.07
[스크랩] 토종약초의 효능과 복용법 사진 토종약초의 효능과 복용법 사진 | 2008.08.27 12:06 바다 http://blog.daum.net/105dwd/6318608 ♣ 아래 약초목록을 클릭하시면 토종약초의 효능과 복용법 사진자료와 동영상을 보실수 있습니다.! ♣ ★천종산삼 ★지치<자초> ★벌나무,산청목 ★천마 ★하수오 ★와송 ★부처손 ★일엽초 ★삼지구엽초<음양곽&g.. 산야초 200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