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석(磁石) 신기를 보하는데[養益] 신기가 허하여 귀가 메고[聾] 눈이 어두운 데 쓴다. ○ 자석은 물의 성질을 본받아 빛이 검은데 그 기운이 신으로 들어간다. 가루내어 수비(水飛)해서 약에 넣어 쓴다[본초]. 양기석(陽起石) 신기를 보하는데 신기가 허랭한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수비해서 약에 넣어 쓴다[본초]. 염(鹽, 소금) 약 기운을 신으로 끌어간다. 약에 소금을 섞어서 닦거나[炒] 소금을 넣어 먹는 것은 다 이런 이치이다[본초].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신의 양기(陽氣)를 보하는데 신이 찬 것을 치료한다. 술에 담갔다가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거나 약에 넣어 쓴다. 육종용(肉 蓉) 명문의 상화(相火)가 부족한 것을 보한다. 술에 불렸다가 쪄서 약에 넣어 쓴다[탕액]. 오미자(五味子) 신을 따뜻하게 하며 신수를 보한다. 오미자는 모양이 신장 비슷한데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아홉번 쪘기 때문에 신정(腎精)을 잘 보한다. 팔미환(八味丸)에 이것을 주약으로 넣는 것은 이것이 자연계[君天]에 처음 생겨난 수(水)의 근원이기 때문이다[탕액]. 지모(知母) 신음(腎陰)이 부족한 것을 보하고 신에 있는 열을 없앤다. 소금물에 축여 볶아서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백자인(栢子仁, 측백씨) 신장을 눅여 주는데 신이 찬 것을 치료한다.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약에 넣어 먹는다[본초]. 두충(杜沖) 신에 냉기(冷氣)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신로(腎勞)로 허리와 다리가 차고 아픈 것도 낫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데 닦아서 써야 한다. 침향(沈香) 명문(命門)의 화(火)가 부족한 것을 보한다. 가루내어 약에 넣어 쓰거나 물에 갈아 즙으로 먹는다[본초]. 산수유(山茱萸) 신을 보하고 정액을 불쿠어 주며[添] 신을 따뜻하게 하고 정액이 저절로 나가지 못하게 한다.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모려(牡蠣, 굴조개껍질) 신을 보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알약에 넣어 쓴다. 굴조개살을 삶아 먹어도 좋다[본초]. 상표초(桑 , 사마귀알집) 신이 쇠약하여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데 주로 쓴다. 술에 씻어 약간 쪄서 알약에 넣어 쓴다[본초]. 복분자(覆盆子) 신을 보하고 따뜻하게 한다.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약에 넣어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파고지(破故紙, 보골지) 신을 따뜻하게 하고 보하며 약 기운을 신으로 끌어간다. 닦아서 가루내어 약에 넣어 쓰거나 가루로 먹어도 된다[본초]. 녹용(鹿茸) 신이 허한 것을 보하는데 허리와 신이 허랭한 것을 치료한다. 졸인 젖[ ]을 발라 구운 다음 가루내어 약에 넣어 알약을 만들어 쓰거나 가루로 먹어도 된다[본초]. 녹각교(鹿角膠) 신기가 쇠약하여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구슬같이 되게 볶아서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울눌제( 臍, 물개신) 신을 보하는데 신정(腎精)이 부족한 것과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몹시 여윈 것을 치료한다. 또한 신을 따뜻하게 한다. 술에 담갔다가 고소한 냄새가 나게 구워서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드는 데 넣어서 쓴다[본초]. 구음경(狗陰莖, 개의 음경) 신을 보하는데 음위증(陰 證)으로 음경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센 불에 구워서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 만드는 데 넣어 쓴다[본초]. 우신(牛腎, 소의 콩팥) 신을 보하는데 늘 먹어야 좋다[본초]. 율(栗, 밤) 신을 보한다. 신병(腎病)에는 구워서 늘 먹어야 좋다[본초]. 흑두(黑豆, 검정콩) 소금과 함께 넣어 삶은 것은 신을 잘 보한다. 늘 먹어야 좋다[식료]. |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02가지 산야초 효소 완성 보고서 (0) | 2009.06.30 |
---|---|
[스크랩] 비염에 탁월한 도꼬마리 ( 창이자) (0) | 2009.06.30 |
[스크랩] 간과 신장과 심장에 좋은음식 (0) | 2007.02.03 |
[스크랩] 간에 좋은 음식11 산수유차 (마지막 음식 임다~^^) (0) | 2007.02.03 |
[스크랩] 신장에 좋은 음식6 양고기 인삼죽 (0) | 2007.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