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스크랩] 간에 좋은 음식11 산수유차 (마지막 음식 임다~^^)

화성외계인 2007. 2. 3. 20:24

 

▣산수유차

 

간기능 허약으로 식은 땀이 많고 움직이면 땀이 잘 나고 잘 놀라며 가슴이 뛰는 증상, 혈액 순환이 잘 안되는 증상 등에 사용한다. 간(肝)고 신(腎)을 보하며 수렴작용이 있어 땀이 잘 나가지 않게 하고, 정(精)이 잘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정혈(精血:생기를 돌게 하는 맑은 피)이 손상되고 신양부족으로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이 연약해지며, 발기가 안 되고 정액이 저절로 흘러나오며, 귀에서 이명현상이 있을 때 좋다. 간(肝)과 신(腎)이 허하여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피곤하여 힘이 없는 사람과 노인 등에게 좋다.

 

 

 

▩재료(5인기준)

산수유 20g, 산사 10g, 산약(건조) 40g, 꿀 25g, 잣 10g, 물 2,000cc

 

 

 

§만드는 방법

1.       산수유, 산사, 산약을 씻어서 물 2,000cc를 주전자에 붓고 끓인다.

2.       끓기 시작하며 불을 줄인 후 약한 불로 오랫동안 달인다.

3.       건더기는 체로 걸러내고 물만 찻잔에 담아 상차림 한다.

4.       찻잔에 잣을 띄우고 꿀을 타서 마신다.

 

 

 

>>>> 산수유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시고 떫다.

간신(肝腎:포괄적인 의미의 간장과 신장)을 보하여 어지러운 증상을 다스리고 허리와 무릎이 쑤시는 증상을 완화시킨다.

발기가 안 되고 정액이 저절로 흘러나오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증상에 효과가 좋다. 신맛은 수렴성이 강하여 식은 땀이 그치지 않을 때, 새벽에 설사를 하고, 소변의 양이 적으면서 잘 나오지 않거나 또는 소변을 자주 볼 때, 야뇨증, 자궁출혈에 효과가 있다.

간기능 허약으로 식은땀이 많고 잘 놀라며 가슴이 뛰는 증상에 쓰인다.

동물실험에서 이뇨작용과 혈압강화작용을 보이며, 약물 달인 물은 포도상구균, 이질균의 억제작용과 복수암 세포의 억제작용이 있으며 혈당강하작용도 있다. 심근의 수축력을 높이고, 혈압을 올리며, 면역계통에 림프세포증식작용, 혈소판응집억제작용도 있다.

 

 

>>>> 산사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고 시다.

음식이 체한 것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도와 어혈을 흩어주벼 비장의 기운을 도와 입맛이 돌게 하고 음주로 인한 증상을 풀어준다.

건위(健胃: 위를 튼튼하게 함)작용 및 소화촉진작용이 있어 소화불량, 육식 소화장애, 복통 등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혈액순환 개선으로 산후 복통, 생리통 등에 활용된다. 어혈(瘀血)을 제거하므로 타박어혈동통의 통증을 가라앉힌다.

지질용해작용이 있어 관상동맥장애와 협심증, 고혈압, 고지혈증 등에 널리 응용된다.

강심작용이 있으며, 혈압강화, 관상동맥혈류량촉진, 혈관확장에 유효하다.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고, 죽상동맥경화에 효력을 나타내며, 동물성 지방식품의 소화촉진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병원 미생물 억제작용, 진정작용이 있으며, 모세혈관 투과성을 높히고, 자궁수축작용을 나타낸다.

 

 

>>>> 꿀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다.

오장을 편안히 하고 기를 더하여 준다. 중초(中焦)를 보호하고 통증을 멈추게하고 해독하는 작용이 있다. 심(心)을 보하여 정신이 안정되게 해주며, 비위를 조절하고 장벽(腸癖: 예전에 이질(痢疾)을 이르던 말. 대변에 고름과 같이 곱이 섞여 나오는 것이 창자를 씻어 내는 것과 같다고 하여 붙이 이름이다.)을 그치게 하고 구창을 치료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 여러병을 다스리고 여러 약을 조화롭게 하고 영기(營氣:음양관계에 따라 기가 양에 속하는 것을 양기라하고 음에 속하는 것을 음기라하며, 혈맥 밖에 있는 것을 위기衛氣라 하고 혈맥 내부에 있는 것을 영기營氣라 한다)와 위기(衛氣:몸의 겉면에 흐르는 양기. 땀구멍을 여닫는 기능으로 외부환경에 잘 적응하게 하면서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를 조화되게 하며, 장부를 원활히 하여 삼초(三焦:한방에서 이르는 육부의 하나, 상초,중초,하초로 나뉨)를 잘 통하게 한다. 장을 매끄럽게 하여 변을 잘 보게 하여 변비를 통하게 하며, 폐가 마르고 건조하여 생긴 해수(咳嗽:기침)와 폐허로 인하여 오래된 해수, 인후가 건조하고 입이 마름을 치유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또한 노화를 지연시켜 수명을 연장시키고 신체를 튼튼하게 해 준다. 설사를 하며 속이 더부룩한 사람은 삼가하여야 하며, 비위가 부실한 사람, 신기가 허활한 사람, 습열로 담이 막힌 사람 그리고 외감(外感)병이 생긴 사람은 피한다.

 

 

>>>> 잣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다.

폐와 위를 보해주고 기침, 해수를 치료해 주며 오장을 윤기있게 해주고 변비에 효과가 있다.

음액(陰液)을 자양(滋養)하여 간풍(肝風)을 없애고 기혈(氣血)을 보해주며 위장을 따뜻하게 해주고 살이 찌게 하며 노화를 방지해 준다.

 

 

죽엽 박하차 영양소분석 (1인기준)

열량(kcal)  32.5

단백질(g) 0.5

당질(g) 5.1

지질(g) 1.4

콜레스테롤(mg) 0

n-3지방산(g) 0

n-6지방산(g) 0

n-3/n-6 ratio -

P/M/S  0

비타민A(㎍RE) 0

비타민B1(mg) 0

비타민B2(mg) 0

비타민B6(mg) 0

나이아신(mg) 0.1

비타민C(mg) 0.9

비타민E(mg) 0.3

섬유소(g) 0.1

칼슘(mg) 3.1

(mg) 14.8

나트륨(mg) 1.2

칼륨(mg) 36.4

철분(mg) 0.2

엽산(㎍) 5.4

회분(g) 0.1






 
출처 : 행복한 작은 부자되기
글쓴이 : 해피스마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