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지역 출신의 남녀가 결혼을 하게 될 경우에는 고유한 결혼 풍습을 몰라 오해가 깊어지기 쉽다. 지역감정으로 인한 문제야 옛말이라지만 결혼 문화의 차이는 알게 모르게 앙금을 남길 수 있다. 큰상이란 신랑집에 새 사람(며느리)이 왔다고 알리는 제사를 올리기 위해 신부집에서 한껏 솜씨를 부려 음식을 보내는 풍습이다. 경상도의 큰상 풍습은 결혼식 전날 따로 음식을 보내 동네 어른과 친지끼리 나누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전라도와 충남 지역 즉 백제문화권은 이바지 음식을 신랑 측에서 신부 측으로 보낸다. 전라도 출신의 남자와 결혼한 경상도 출신 최모(33)씨는 결혼식 후 풍습대로 시댁에 인사를 드리러 갔다가 낭패를 보기도 했다. 그래서 경상도 여자와 전라도 남자가 만나면 예식장 선정을 놓고 많이 부딪친다. 결혼식도 서로 자기 고향에서 올려야 한다고 고집을 피우다 갈등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폐백은 신랑 측만 받고, 결혼식 뒤풀이 비용도 남자가 부담한다. 결혼 전반에 대한 모든 결정권을 신부 측이 행사하고 신랑 측은 모든 비용을 대는데 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갈등을 빚기 쉽다.
|
너에게 편지를 카페를 방문한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세포` 얼씬도 못하게 하는 `4대 항암제 (0) | 2016.07.16 |
---|---|
[스크랩] 소중한 사람을 잃지 않는 법 (0) | 2016.07.16 |
[스크랩] 현대 여성이 꼭 알아두어야 할 상식 (0) | 2016.07.15 |
[스크랩] 공자의 사람보는 지혜 9가지 (0) | 2016.07.14 |
[스크랩] 존경받는 삶의 비결 (0) | 2016.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