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칭 |
사용 부위 및 효능 |
1. 달맞이꽃 |
잎과 뿌리를 사용해서 담구고, 해열, 소염작용, 당뇨병, 고지혈증에 효험 |
2. 민들레 |
뿌리와 잎을 담구고, 위염, 위궤양, 만성간염, 지방간, 변비, 만성장염, 천식
신경통을 다스림 |
3. 냉이 |
뿌리와 잎 을 담구고, 부인병과 위장질환에 좋고 간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 |
4. 씀바귀 |
뿌리와 잎을 함께 담구고, 건위소화, 암세포 억제, 종기를 다스림 |
5. 질경이 |
뿌리와 잎을 모두 담구고, 천식, 각기, 관절통, 눈충혈, 위장병, 부인병, 산후복통,
심장병, 신경쇠약, 두통 뇌질환, 축농증, 변비, 천식, 백일해, 기침, 안질, 임질, 출혈,
종독등에 효능 |
6. 곰보배추 |
뿌리와 잎을 모두 담구고, 기침, 감기, 기관지를 다스림 |
7. 무릇 |
뿌리와 잎을 모두 담구고, 혈액순환,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다. |
8. 진달래꽃 |
온(溫)하고 산감(酸甘)하며 월경불순·폐경·해소·고혈압 등의 증상에 유효. |
9. 쑥 |
비타민 A와C가 많으며 면역기능, 항암효과 그리고 각종 위장병을 다스린다. |
10. 산부추 |
뿌리와 잎을 모두 담구고, 이뇨, 강장, 해독, 소화, 건위,강심,진정등에 효능이 있다. |
11. 노루발풀 |
뿌리줄기와 함께 담구고, 보허,익신, 거풍, 제습, 관절, 충독에 효능 |
12. 잔대 |
싹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진해, 거담, 해열, 강장, 배농제로 사용하며 각종 독을
푸는데 쓴다. |
13. 지치 |
싹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부인병, 노화예방, 어린이 체력증진, 비만에도좋은 효과가
있다. |
14. 도라지 |
싹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가래, 기침, 기관지를 다스린다. |
15. 지느러미엉겅퀴 |
잎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관절염, 감기, 간염, 소변 출혈, 요로감염증 등에 효과가
있다. |
16. 돌미나리 |
황달이나 부인병, 음주 후의 두통이나 구토, 해열, 혈압강하, 해독작용이 있다. |
17. 둥글레 |
뿌리와 싹 함께 담고 피로·어지럼증·두통, 당뇨병, 심장쇠약, 피부미용에도 좋다. |
18. 인진쑥 |
줄기채 썰어서 담고 황달, 간염, 간경화, 간장병 등에 효과가 있다. |
19. 백선 |
뿌리와 싹 함께 담고 통경, 두통, 풍질, 황달에 효과 |
20. 원추리 |
잎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이뇨, 주독, 신체번열에 효과가 있다. |
21. 더덕 |
뿌리와 싹을 함께 담구고, 거담배농(祛痰排膿)작용과 청열해독(淸熱解毒)작용,
피로회복, 항암효과, 혈압조절, 성인병예방, 피부미용효과, 갈증해소등의효과가
있다. |
22. 야생부추 |
산에서 밭에서 기르는 것과 같은 부추를 만나 채취함. 건위(健胃) ·정장(整腸)
·화상(火傷), 강장, 강정, 비타민C, 카로틴이 풍부하며, 철분, 인, 칼슘, 비타민
B군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
23. 엉겅퀴 |
잎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감기, 백일해, 고혈압, 장염, 신장염, 토혈, 혈뇨,혈변,
산후에 출혈이 멎지 않는 증세, 대하증 등에 좋다, |
24. 지칭개 |
잎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종기, 악창, 유방염 등에 효과가 있다. |
25. 찔레순 |
어린이 성장발육에 좋고, 혈액순환이 촉진되며 변비나 부종, 어혈 등을 없애주는
약효도 기대할 수 있다. |
26. 돌나물 |
청열, 소종, 간염, 열로 인한 소변곤란, 옹종, 화상, 사,충교상, 해독의 효능. |
27. 엄나무 순 |
새순과 근피나 목피를 사용함. 신경통, 만성간염, 요통, 부종의 치료에 효험이 있고,
중풍 치료에 쓰인다. |
28. 달래 |
잎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토사곽란과 복통을 치료하고, 종기와 벌레에 물렸을때
쓰며, 협심통에 효과 |
29. 생강나무 |
새순이나 꽃을 이용. 타박상, 어혈, 멍들고 삔 데 신통한 효력이 있다. |
30. 오이풀 |
수렴, 해열, 설사, 이질, 지혈, 월경과다, 객혈, 피부병, 상처 및 화상과 열상 등에
사용하는데, 타닌과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
31. 으름덩굴 잎 |
어린순과 넝쿨 및 열매 사용. 신장에 좋고 젖이 잘 나오게 한다. |
32. 개망초 |
잎을 사용하며, 감기, 학질, 림프선염, 전염성간염, 위염, 장염, 설사에 효과 |
33. 골담초 |
싹과 꽃을 함께 담구고, 진통, 통맥(痛脈)의 효능이 있어 해수, 여성대하,
고혈압, 신경통, 타박상 등에 효과 |
34. 구기자 |
싹을 담구고, 구기자는 폐를 윤택하게 하고 간을 맑게 하며 신장을 보호한다. |
35. 머위 |
기침이나 가래, 편도선염, 해독의 효과가 있다. |
36. 소루쟁이 |
뿌리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어 효소 재료는 잎만 사용했다. 피부병 치료에
효과적이고 장이 깨끗해지고 피가 맑아진다. |
37. 양지꽃 |
뿌리를제외하고 담구고, 위장의 소화력을 높혀주고 부인과 출혈, 폐결핵 의객혈에
효과 있다. |
38. 인동초 순 |
인동초꽃은 약간의 독성을 가지고 있어 잎으로 효소를 담구었다. 해열, 해독,
억균소염, 진통, 이뇨항바이러스등의 효과가 있다. |
39. 다래순 |
새순이나 줄기을 사용. 만성피로.식욕부진.간기능저하등을 개선시키는 효험이
있다 |
40. 두릅순 |
단백질이 많고 지방, 당질, 섬유질, 인, 칼슘, 철분, 비타민(B1·B2·C)과 사포닌
등이 들어 있어 혈당을 내리고 혈중지질을 낮추어 주므로 당뇨병, 신장병,
위장병에 좋다. |
41. 진삼 |
잎과 뿌리를 함께 담구고, 각종 염증성 질환, 체장염,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 |
42. 적하수오 |
줄기와 새순을 효소로 담구었으며 보혈, 강장, 강정 등에 효과가 있다. |
43. 겨우살이 |
고혈압과 관절염, 당뇨병등에 효과가 있다. |
44. 독활 |
싹과 뿌리 모두 효소로 쓰며 근육통, 하반신마비, 두통, 중풍의 반신불수 등에 효과 |
45. 풀솜대 |
잎, 줄기를 효소로 담그고 사지마비, 생리불순, 종기, 타박상에 효과가 있다. |
46. 가침박달 순 |
꽃과 함께난 새순을 사용했는데 나물로 먹거나 꽃을 차로 마시기도 했으며,약으로
썼다는 기록은 있으나 약성에 대하여 나타난 기록은 찾아볼 수가 없어 안타깝다. |
47. 담쟁이덩굴 순 |
담쟁이 덩굴을 채취할때는 바위나 담을 타고 올라간 것은 독성이 있으니 피하고 나무
를 타고 올라간 것 중에서 채취한다. 새순을 효소로 사용하고 어혈을 풀어주고 관절과
근육의 통증을 가라앉힌다. |
48. 등나무 순,꽃 |
새순과 꽃을 사용하여 효소로 담구고, 열을 내리고 변비를 없애는 효과가 있다. |
49. 익모초 |
전초를 사용하며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효과가 있다. |
50. 쥐똥나무 순 |
새순을 채취하여 효소로 담구고, 강장, 지혈 효과가 있다. |
51. 참취 |
비타민 성분이 많으며, 장염에 의한 복통, 골절동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
52. 화살나무 순 |
새순이나 코르크질 날개를 이용. 지혈, 구어혈(驅瘀血), 통경에 효과가 있다. |
53. 삽주 싹 |
싹을 채취하여 효소로 담구었다. 발한, 이뇨, 진통, 건위 등에 효능이 있다. |
54. 청미래덩굴 |
명감나무라고도 하며 뿌리를 이뇨 ·해독 ·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 등에
효과가 있다. |
55. 선밀나물 |
뿌리 함께 사용하며, 매독, 임질 소화, 다소변증에 효과가 있다. |
56. 애기나리 |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사용하며, 몸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고,
건위,소화 작용을 한다. |
57. 칡순 |
골다공증, 관절염, 숙취해소,불면증, 견비통, 간기능 개선, 피부개선, 노화방지 등에
효과가 있다. |
58. 메꽃 |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담구며, 이뇨, 강장, 피로회복 등에 효능이 있다. |
59. 감나무잎 |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고,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당뇨병등 만성질환에 효과가 있다. |
60. 개암나무 |
신체허약, 식욕부진, 눈의 피로, 현기증 등에 효능이 있다. |
61. 구지뽕잎 |
각종암과 염증, 여성들의 질병에 좋다. |
62. 두충나무잎 |
고혈압, 신경통을 다스리는데 효과가 있다. |
63. 바디나물 |
해열, 진해, 거담 작용을 하여 감기, 기침,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 |
64. 산뽕나무 잎 |
거풍, 청열, 양혈, 명목의 효능이 있다. |
65. 오가피 |
봄철 새순이나 목피나 근피 사용. 면역증강, 항산화, 항피로, 항고온,
항자극작용, 내분비기능조절, 혈압조절, 항방사능, 해독작용이 있다. |
66. 왕고들빼기 |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사용하며, 해열, 양혈, 소종의 효능이 있다. |
67. 윤판나물 |
기침, 식체, 폐결핵에 효과가 있다. |
68. 은행나무잎 |
말초혈관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
69. 참나리 |
비늘줄기를 포함한 전초를 사용하며, 진해, 강장, 백혈구감소증에
효과가 있고, 진정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
70. 홀아비꽃대 |
전초를 사용하며, 거풍승습, 활혈, 이기의 효능이 있다. |
71. 짚신나물 |
뿌리를 제외하고 지혈제로 소변출혈, 자궁출혈, 각혈, 변혈 등
각종 출혈 증상에 효과가 있다. |
72. 자작나무 잎 |
이뇨, 진통 해열에 효능이 있다. |
73. 용둥글레 |
전초를 담구고, 번갈, 당뇨병, 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
74. 수리취 |
전초를 담구며, 지혈, 부종, 토혈 등에 약용한다. |
75. 산딸기순 |
채취시 가시에 찔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눈을 밝게하고 허약체질,
불임에 효능이 있다. |
76. 보리수 |
잎과 열매를 사용하며, 자양, 진해, 지혈 등의 효과가 있다. |
77. 고추나무 |
꽃과 새순을 사용해서 담구며, 건해를 다스린다. |
78. 당개지치 |
전초를 담구며, 만성변비, 기침,천식, .식욕부진에 좋다. |
79. 등칡 |
잎과 꽃을 담구고, 치열, 산습사제(散濕瀉劑), 이뇨 등에 효과가 있다. |
80. 단풍취 |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담구며, 칼륨, 비타민C,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
81. 비비추 |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담구며, 조기, 화혈, 보허의 효능이 있다. |
82. 산작약 |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담구고, 부인병, 복통, 두통, 객혈 등에 효과가 있다. |
83. 우산나물 |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담구며, 거풍, 제습, 해독, 활혈, 소종, 지통의 효능이 있다. |
84. 산삼 |
원기회복, 자양강장, 등의 효능이 있다. |
85. 매실 |
수렴, 지사, 진해, 구충의 효능이 있다
|
[옮긴글] |